(연합뉴스) "기업 10곳 중 4곳 산재발생 보고 의무 안지켜"
이정미 의원 "신고 불이행 시 제재 강화해야"
(서울=연합뉴스) 안승섭 기자 = 기업 10곳 중 4곳은 산업재해가 발생해도 정부에 제대로 보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.
1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정의당 이정미 의원이 고용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전체 산재 발생 건수 19만1천957건 중 보고 의무를 이행한 건수는11만853건(57.7%)에 불과했다.
특히 국가·지방자치단체는 전체 1만216건 중 72건(0.7%)만 산재 보고 의무를 지켰다. 교직원도 1천277건 중 45건(3.5%)으로 매우 저조했다.
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사업주는 산업재해 발생 시 1개월 이내 지방노동관서에 방문, 우편, 팩스, 전자민원 등으로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, 제출해야 한다. 이를 어기면 1천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한다.
공공기관 316곳 중 산업재해조사표 신고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대한석탄공사로 14%에 불과했다. 근로복지공단도 신고율이 18.8%에 지나지 않았다.
산업재해조사표 미제출에 따른 과태료 부과율은 일반 사업장이 0.4%, 공공기관은 0.2%에 불과해, 산재 보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도 제재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.
최근 5년간 산재 미보고 적발 유형을 보면 전체 3천352건 중 '건강보험 자료'를 이용한 적발이 49%, '요양신청서 반려 및 지연 보고'를 이용한 적발이 25.1%, '사업장 감독 등'에 의한 적발이 12.4%였다.
이정미 의원은 "산재 발생 시 사업주의 고의적인 산재 은폐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"며 "산재 신고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사업주 제재를 대폭 강화해야 할 것"이라고 말했다.
ssahn@yna.co.kr
(끝)
'언론기사및인터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팩트TV) 이정미 "애슐리 '열정페이'는 빙산의 일각" (0) | 2016.10.24 |
---|---|
(뉴시스) 이정미 의원, 노조법 개정안 발의 기자회견 (0) | 2016.10.24 |
(뉴스1) 메탄올 중독 실명사고 산재신청 기자회견 (0) | 2016.10.24 |
(헤럴드경제) 사업주 산재신고 의무 이행율 57.7%, 국가·자지체 0.7%로 바닥 (0) | 2016.10.24 |
(뉴시스) 野여가위원들 "與, 위안부 관련 증인 모조리 거부" (0) | 2016.10.24 |